NEWS

[해외][미국] PFAS 9종 독성물질 배출목록(TRI)에 등재

2025.03.31 36

□ 배경

 ○ 미국은 「응급계획 및 지역사회 알권리법(EPCRA*)」에 따라 독성물질의 환경 배출을 추적하고, 배출 저감을 위한 독성물질 배출목록(TRI**) 목록을 관리하며, 이에 대한 기업의 연례 보고를 의무화하고 있음

          * EPCRA: Emergency Planning and Community Right-to-Know Act

         ** TRI: Toxics Release Inventory

 ○ 미국 환경보호청(EPA)은 최근 과불화화합물(PFAS) 9종을 TRI 목록에 추가 등재하였으며, 이에 TRI 대상 PFAS는 총 205종으로 확대됨

□ 주요내용

 ○ TRI 대상 PFAS 9종 신규지정

 

No.

물질명

CAS No.

1

Ammonium perfluorodecanoate (PFDA NH4)

3108-42-7

2

Sodium perfluorodecanoate (PFDA-Na)

3830-45-3

3

Perfluoro-3-methoxypropanoic acid

377-73-1

4

6:2 Fluorotelomer sulfonate acid

27619-97-2

5

6:2 Fluorotelomer sulfonate anion

425670-75-3

6

6:2 Fluorotelomer sulfonate potassium salt

59587-38-1

7

6:2 Fluorotelomer sulfonate ammonium salt

59587-39-2

8

6:2 Fluorotelomer sulfonate sodium salt

27619-94-9

9

Acetic acid, [(γ-ω-perfluoro-C8-10-alkyl)thio] derivs., Bu esters

3030471-22-5

 

 

□ 시사점 및 산업계 대응방안

 ○ PFAS는 TRI 목록 내 특별우려화학물질(Special Concern Chemicals)로 분류되어, 함량과 무관하게 연간 100파운드(약 45.4kg) 이상 취급하는 경우, 해당 물질에 대한 물질 정보, 사용 용도, 취급 수량, 폐기 방식, 노출 및 유해성 정보 등을 보고해야 함

 ○ 해당 9종을 포함해 PFAS 관련 정보를 2025년부터 수집하여, 2026년 7월 1일까지 보고를 완료해야하며, EPA의 PFAS 규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므로, 최신 규제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필요함

 

(참고)

1. Chemlinked

https://chemical.chemlinked.com/news/chemical-news/us-epa-adds-nine-pfas-to-toxic-release-inventory

2. EPA

https://www.epa.gov/newsreleases/epa-adds-nine-additional-pfas-toxics-release-inventory

 

출처 : 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: 국제동향